조선 왕실이 소유했을 정도로 아름다웠던 섬
지난여름 홍수를 계기로 다시 나타난 저자도

KBS
KBS

50년만에 한강에 못 보던 섬이 나타나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2023년 2월 2일 서울환경연합에 따르면 1970년대 한강 개발 사업으로 골재 채취가 이뤄지면서 사라진 저자도가 50여년 만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해뜰 무렵 동호대교에서 바라본 저자도의 모습. / 서울환경연합 제공
해뜰 무렵 동호대교에서 바라본 저자도의 모습. / 서울환경연합 제공

저자도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과 성동구 옥수동 사이에 있습니다. 정확히는 옥수동 강변북로 아래에 있습니다. 비가 오면 물에 잠기는 섬이라서 기우제를 지낸 곳이기도 합니다.

네이버 지도
네이버 지도

저자도는 이름난 섬이었습니다. 흰 모래와 갈대숲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조선 시대 때 왕실 소유해 피서를 즐길 정도였습니다. 15세기 문신 강희맹은 "봄꽃이 만발해 온 언덕과 산을 뒤덮었네"라며 저자도의 비경에 감탄했습니다. 유명 화가인 정선과 김석신이 저자도 풍경을 화폭에 담기도 했습니다. 백사장이 넓어 기우제, 출정하는 병사들의 전송 행사를 여는 곳으로도 이용됐습니다.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환경연합 제공

강남구 디지털강남문화대전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 저자도는 태조 이복형제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의 소유였습니다. 이후 세종 때 왕실 소유로 바뀌었습니다. 세종이 정의공주에게 하사하고, 공주는 아들 안빈세에게 저자도를 내려줬습니다. 

 
 

안빈세는 섬을 얻은 것을 기념해 화공에게 저자도도(楮子島圖)를 그리게 했습니다. 10여 가구의 농가가 있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저자도는 조선말에 철종의 부마 박영효에게 하사됐으며 1914년 일제가 경성부(京城府)의 행정 구역을 개정할 때 경기도 고양군으로 이속(移屬: 다른 기관이나 조직체로 옮기어 속하게 함)됐습니다. 면적도 꽤 됐습니다. 1925년 을축대홍수로 상당 부분이 유실됐는데, 당시 저자도의 전체 면적이 36만평(120만㎡)이었습니다.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환경연합 제공

여의도 면적의 40%에 이르는 큰 섬이었지만, 저자도는 압구정 현대아파트를 지을때 흙과 모래를 파내는 바람에 1972년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환경연합 제공

지난여름 폭우가 부른 홍수로 다시 등장한 저자도는 흙더미나 갯벌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왜가리, 민물가마우지 등 새들에겐 소중한 쉼터입니다. 지난해엔 한강 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큰고니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한강 생태계 복원을 위해서라도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셈입니다.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환경연합은 습지로서의 가치에 주목합니다. ’습지의 날‘인 2일 서울환경연합은 ’습지의 날, 서울시에 바란다‘란 논평을 발표해 서울시에 "지난여름 큰물이 난 뒤로 저자도의 생김이 꽤 도드라졌다. 1968년 폭파돼 사라졌다가 스스로 복원해 도심 속 습지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밤섬처럼, 저자도가 잘 지켜질지 주목해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환경연합은 "되살아난 습지 저자도를 잘 지켜내 지구 곳곳에서 생물다양성이 붕괴되는 소식이 들려오는 요즘 한 줄기 희망이 되길 바란다"고 했습니다.

2023년 2월 2일은 '세계 습지의 날'이였습니다.습지는 지상의 탄소를 약 40% 이상 저장해 기후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데다, 모든 생물의 40%가 살고 있어 우리에게 각종 식량까지 제공하고 있는데요.

도심 속 습지인 저자도. 사람과 공존하는 자연 습지가 될 수 있을까요?

저작권자 © 살구뉴스 - 세상을 변화시키는 감동적인 목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많이 본 뉴스